쉬어가는 공간24 홍수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집, 그 안에 숨겨진 비밀 폭우에 다 잠겼는데 홀로 멀쩡한 집…“父가 알려준 방법 덕분” 며칠 전, 미국 테네시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 소식을 접하셨나요?남부와 중서부 지역 전체가 기록적인 폭우에 휩싸이면서 도시 곳곳이 물에 잠겼다고 해요.그중에서도 테네시주의 작은 마을, 보고타(Bogota) 지역은 말 그대로 ‘물바다’가 되어버렸습니다.그런데 놀랍게도,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단 한 채의 집만이 물에 잠기지 않은 채 서 있었어요.SNS에 올라온 항공 촬영 영상에는 온통 흙탕물에 잠긴 마을과,그 중앙에 고립된 듯하지만 멀쩡한 집 한 채가 눈에 띕니다.잔디며 나무며 수영장까지 온전히 보존된 이 집의 모습에많은 이들이 눈을 의심했다고 하네요.이 집의 주인은 32살 농부 터커 험프리(Tucker Humphrey).그는 아버지에게 배.. 2025. 4. 19. ‘7세 고시’가 불러온 한국 조기교육의 그늘…이대로 괜찮을까요? “이런데도 한국에서 애를 낳으라고?”…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최근 대한민국의 교육 현실을 바라보며 다시금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뉴스가 있었습니다.바로 ‘7세 고시’라는 단어가 등장할 만큼 과열된 조기교육 환경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이 접수됐다는 이야기입니다.지난 4월 16일, ‘아동 학대 7세 고시 국민 고발단’이라는 이름의 시민단체가 서울 종로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고,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입학 시험이 심각한 아동 학대에 해당된다며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했습니다.조기교육이 아니라, 조기입시?이 단체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유명 영어학원에 입학하기 위해 만 6세 유아들이 리딩 시험을 보고, 인터뷰까지 준비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사실 교육을 조금 일찍 시작한다고 해서.. 2025. 4. 18.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대응 백서 발간, 그리고 '롱코비드' 후유증 정리 "아픈데 병 아니래요" 알고보니 코로나 후유증…'13가지 증상' 무엇? 2025년 4월 15일,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대응 백서’*를 공식 발간했습니다.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던 'K-방역'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해요.국내에서는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2023년 8월 감염병 등급이 하향 조정되며 일단락되었지만, 코로나19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국내 누적 감염자 수만 해도 무려 3443만 명을 넘어서고 있고, 감염 후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죠.흔히 ‘롱코비드(Long-COVID)’라고 불리는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은 단순한 피로나 기침을 넘어서, 신체 전반에 걸.. 2025. 4. 15. 🍺 서울 성수동에서 만나는 맥주 체험! 카스 팝업스토어 '카스 월드' 🍺 "약수터에 생맥 콸콸"…청량함 가득한 '카스 월드'[현장]요즘 성수동, 정말 핫하죠? 감성 카페와 전시회, 팝업스토어들이 줄줄이 열리면서 주말마다 사람들이 북적이는데요.저도 이번에 **OB맥주 ‘카스(CASS)’**가 브랜드 리뉴얼을 기념해 연 팝업스토어, **‘카스 월드(CASS World)’**에 다녀왔어요!✔️ 팝업 기간은 4월 11일부터 4월 20일까지 딱 10일뿐이라, 저처럼 성수동에 볼일 있으신 분들은 꼭 들러보시길 추천드려요.💡 카스, 새로워지다! VBI 패키지 전면 리뉴얼이번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전시가 아니에요.**‘폭포(Cascade)’**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VBI(Visual Brand Identity) 패키지를 전 제품에 적용하면서, 기존 이미지에서 한층 더 시원하고 세련.. 2025. 4. 12. 2043년, 인구 10명 중 7명이 노인?…급변하는 고령사회와 실버산업의 미래 🧓 2043년, 노인 인구 비율 75% 이상 지역 22곳…실버산업에 뛰어드는 기업들 세상 참 빠르게 변하고 있죠. 그중에서도 인구 구조의 변화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꿔놓을 핵심 키워드가 아닐까 싶어요.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무려 2043년에는 전국 22개 지역에서 노인 인구 비중이 75%를 초과할 거라고 합니다. 상상이 가시나요? 10명 중 7명이 노인이라는 얘기니까요.📊 지금, 그리고 앞으로의 고령화 추이통계청의 인구 전망을 보면, 우리는 이미 ‘고령화 사회’가 아닌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고속열차에 올라탄 셈이에요.2000년 노인 비율: 7.2%2020년 노인 비율: 15.7%2040년에는 34.3%까지 증가2050년에는 전체 인구 중 무려 40.1%가 65세 이상.. 2025. 4. 10. 지방소멸, 위기인가 기회인가? 빈집을 재생하는 스타트업들의 도전 대한민국 최대 위기, '지방소멸'…해결의 실마리는 빈집 재생 스타트업에 있다! 요즘 뉴스나 정책 흐름을 보면, 대한민국의 가장 큰 사회적 위기 중 하나는 단연 ‘지방소멸’입니다.인구가 수도권으로만 몰리면서 지방은 점점 사람이 살지 않는 ‘빈 공간’이 되어가고 있고, 그 결과 경제·문화·교육 등 거의 모든 생활 인프라가 흔들리고 있습니다.특히 지방의 빈집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데요.사람이 떠난 빈집은 시간이 지나면 폐가가 되고, 주변 분위기를 어둡게 만들거나 심지어 범죄 위험을 높이기도 합니다.하지만 이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바꿔가는 스타트업들이 있습니다.단순히 건물을 고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과 함께 호흡하는 방식으로 ‘빈집’을 살려내고 있죠.💡 지방의 빈집, 새로운 가능성이 되다요즘은 지역 .. 2025. 4.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