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소식65 전세는 줄고 월세는 폭등… 벼량끝에 몰린 집 없는 서울 청년들 한 달에 250만원 버는 청년의 현실…"월세·관리비 90만 원, 생활비가 빠듯해요""조금 나은 곳으로 이사 왔지만…고정지출 90만 원이 부담됩니다"요즘 20~30대 직장인 청년들이 처한 주거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서울에 거주 중인 A씨는 월 250만 원의 급여를 받고 있지만, 현재 거주 중인 원룸의 월세와 관리비만 합쳐도 매달 90만 원이 고정으로 나간다고 합니다.과거엔 상대적으로 저렴한 1층 원룸에 살았지만, 보안 문제와 좁은 공간이 불편해 “이왕이면 조금 더 나은 곳에서 살자”며 지금의 집으로 옮겼다고 해요.하지만 생활비를 줄여가며 버텨도 자금이 빠듯한 상황. 어머니께 보내던 돈도 줄여야 할 형편이라 말씀드렸더니 “그럴 거면 그냥 집에 들어오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합니다.💬 “혼자 사는 건 편하.. 2025. 4. 12. 울산 오피스텔, 반등 신호탄 쏘다! 실거주·투자자 모두 주목해야 할 타이밍 📢 훈풍 부는 울산 오피스텔…HL디앤아이한라, `울산 에피트 스타시티` 주목 울산 오피스텔 시장이 오랜 침체를 딛고 살아나고 있습니다. 아파트 공급 부족, 세금 부담 완화, 그리고 전세사기를 계기로 한 월세 수요 증가까지 맞물리며 오피스텔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 특히 울산은 전국에서도 눈에 띄는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울산 오피스텔, 34개월 만에 매매가 상승2025년 2월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울산 지역 오피스텔 매매가는 0.05% 상승하며 2022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무려 34개월 간 하락세를 이어오던 시장이 전환점을 맞은 것인데요.이뿐만 아니라 월세 가격은 전월 대비 0.37% 오르며 전국에.. 2025. 4. 12. “전부 복구하고 나가세요” 정부, 임대인 과다한 원상 복구비 청구 막는다 [부동산 이슈] 세입자가 억울한 원상복구비, 드디어 정부가 나섭니다!서울 강서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거주하던 20대 A씨.임대차 계약이 만료돼 이사를 준비하던 중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집주인이 원상복구비 명목으로 무려 700만원을 요구한 것이죠.하지만 A씨가 별도로 견적을 받아보니 복구에 필요한 비용은 약 200만원 수준이었습니다.집주인과의 갈등이 이어졌고, 결국 보증금 중 일부만 돌려받는 상황까지 벌어졌습니다.이처럼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원상복구비 분쟁은생각보다 훨씬 자주 벌어지는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원상복구비 논란, 정부가 움직인다!최근 국토교통부가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민간임대주택 임차인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구체적으로는 원상복구에 대한 범위, .. 2025. 4. 12. 전월세신고 방법과 지자체별 꿀팁! 전월세신고제 신고 방법과 지자체별 꿀팁! 최근 조기 대선 정국의 영향으로 임대차 관련 법안들 개편 논의가 사실상 멈춘 상황입니다.그중에서도 특히 관심을 모으는 건 전월세신고제의 정식 시행 여부인데요, 정부가 6월부터 유예 없이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면서임대차 시장에 또 하나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전월세신고제란? 누구에게 해당되는 제도일까?'전월세신고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임대차 3법’ 중 하나입니다.2020년 7월에 국회를 통과했지만, 다른 법과는 달리 본격 시행까지 꽤 긴 시간을 거쳤습니다.그만큼 국민 인식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던 거죠.이 제도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보증금 6,000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인 임대차 계약은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반드시.. 2025. 4. 10. 강남 도곡동 '오데뜨오드 도곡' 공매 충격… 서울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도곡동 초호화 도시형 생활주택 ‘오데뜨오드 도곡’ 공매로… PF 부실화 현실화되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꽤나 충격적인 뉴스가 들려왔습니다.서울 강남 한복판, 그것도 고급 주거지로 잘 알려진 **도곡동의 ‘오데뜨오드 도곡’**이 공매 시장에 나왔다는 소식인데요.처음 이 이야기를 들었을 땐 "설마?" 싶었지만, 지금의 부동산 시장 흐름을 보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사건을 통해 드러난 PF(Project Financing) 시장의 리스크와 앞으로 경매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까지 정리해 보려 해요.PF 부실, 이제는 숫자로도 체감된다올해 1월까지만 해도 PF 사업장 중 경공매로 넘어간 곳은 200개도 안 됐습니다.하지만 불과 두 달 사이에 그 숫자는 384곳으로 늘.. 2025. 4. 10. 시흥 배곧신도시 상가, 감정가 10분의 1에 낙찰된 이유는? 💥 배곧신도시 상가, 감정가 10% 낙찰…상권 침체의 그림자 요즘 시흥 배곧신도시에서 들려오는 상가 소식이 심상치 않습니다.감정가가 무려 6억 원이 넘는 상가가 고작 6천만 원대에 낙찰되었다는 건, 투자자 입장에선 ‘충격 그 자체’일 수밖에 없습니다.과연 어떤 사연이 있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해당 상가의 경매 사례를 중심으로 배곧신도시 상권의 현실과 전망, 그리고 주변 경매시장에 어떤 여파가 있을지 차근히 짚어보겠습니다.🏢 실제 경매 사례: 감정가 6.3억 → 낙찰가 6,250만 원📍 위치: 시흥시 배곧동, 2018년 준공된 오피스텔 1층 상가📐 면적: 전용 43.5㎡ (13평)💰 감정가: 약 6억 3,700만 원🔁 유찰 횟수: 무려 7번💸 최종 낙찰가: 6,250만 원 (감정가의 약 9.8.. 2025. 4. 10.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