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 건설 경기 침체 속에서도 연구개발(R&D) 투자 지속
건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형 건설사들은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하거나 오히려 늘리며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건설정보모델링(BIM), 모듈러 건축 등 첨단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1. 건설사별 연구개발 투자 현황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대비 2024년 대형 건설사들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대체로 증가함.
- 각 건설사의 연구개발비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음.
- 현대건설
- 연구개발비: 1778억6600만원
- 매출액 대비 비중: 1.06% (전년 대비 0.02%p 증가)
- AI 기반 건설 현장 비전 기술 개발 중 (영상 데이터 활용해 위험물 파악)
- 대우건설
- 연구개발비: 비율 0.79% (전년 대비 0.16%p 증가)
-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문서 분석 기술 연구 진행 중
- GS건설
- 연구개발비: 비율 0.57% (전년 대비 0.3%p 증가)
- AI 기반 실시간 콘크리트 품질 이상 감지 기술 및 '자이북(Xi-Book)' 개발
- HDC현대산업개발
- 연구개발비: 비율 0.6% (전년 대비 0.19%p 증가)
- DL이앤씨
- 연구개발비: 비율 0.85% (전년 대비 0.06%p 감소)
- BIM 기반 물량 산출 시스템 구축 및 상업화 연구 진행
- 현대건설
2. 대형 건설사의 주요 연구개발 분야
2.1. AI(인공지능) 기술 적용 확대
- 현대건설: 건설 현장 비전 AI 기술 개발 중
- GS건설: AI 기반 실시간 콘크리트 품질 이상 감지 기술 도입 및 자이북(Xi-Book) 개발
- 대우건설: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문서 분석 기술 연구 진행
2.2.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 도입
- DL이앤씨: BIM 기반 물량 산출 시스템 구축
- BIM을 활용해 건축물의 설계, 시공, 운영까지 디지털 방식으로 관리 가능
2.3. 모듈러 건축 기술 개발
- DL이앤씨: 화재에 견딜 수 있는 모듈러 건축 기술 연구
- 모듈러 건축: 공장에서 70~80%의 건축 공정을 미리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설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가능
3. 중소 건설사의 연구개발 실적 저조
- 대형 건설사들은 R&D 투자를 지속하고 있지만, 중소 건설사들은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일부 중소 건설사의 연구개발비 비중 현황:
- IS동서: 연구개발비 비중 0.16% (전년 대비 0.11%p 증가)
- 계룡건설: 연구개발비 비중 0.15%
- 서희건설: 2016년 이후 연구개발 활동 없음
- 중소 건설사들이 연구개발을 하지 못하는 이유:
- 자본력 부족
- 연구개발을 위한 인력 및 조직 구성의 어려움
- 특정 분야(주택)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현실
4. 연구개발이 중요한 이유
- 건설 산업은 AI, BIM, 모듈러 건축 등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방향으로 변화 중
- 연구개발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 기대 가능:
- 효율성 강화: AI를 활용한 공정 최적화 및 비용 절감
- 공사 비용 감소: 모듈러 건축을 통한 시공 시간 단축
- 안전성 확보: BIM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강화
- 국내외 경쟁력 강화: 글로벌 건설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필수 요소
건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대형 건설사들이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모습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AI, BIM, 모듈러 건축 기술은 앞으로 건설 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개발이 장기적으로는 기업뿐만 아니라 건설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다만, 중소 건설사들은 연구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건설사와의 기술 격차가 점점 커질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나 대형 건설사들이 중소 건설사와 협력해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산업 전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쉬어가는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게 바다 맞아?” 바다를 뒤덮은 코카콜라 플라스틱병,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충격적인 현실 (2) | 2025.04.08 |
---|---|
2025 대한민국 라면 박람회! 강서 마곡 코엑스에서 열린 역대급 라면 축제 (1) | 2025.04.05 |
지난해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 분석 (2) | 2025.04.03 |
고속도로 휴게소, 이제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변신 중! (6) | 2025.04.03 |
고령층을 노리는 보이스피싱, 어떻게 예방할까? (0) | 2025.03.31 |